사회학 (2) 썸네일형 리스트형 교육의 학문적 기초 - 사회학 (2) 2. 교육의 사회적 기능 사회화 기능사회가 통일성을 가지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그 사회의 구성원들 사이에 공통된 가치관이나 행동양식이 존재해야 합니다. 학교 교육은 의도적인 교수활동, 교사와 또래 집단에 의한 동일시와 모방, 생활 지도나 상담 등에 의해 사회 규범이나 가치관을 개인에게 심어 주는 일을 계획적으로 실행합니다. 이것이 교육의 사회화 기능입니다. 즉, 사회 구성원이 그 사회가 인정하고 요구하는 언어, 감정, 가치, 사고, 행동의 양식을 학습하고 건전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은 교육의 중요한 기능입니다. 교육은 이러한 사회적 기능을 통해 사회 구성원들을 통합하는 데 기여합니다. 문화유산의 전달 및 창조 기능문화는 인간의 생활양식입니다. 따라서 사회의 구성원들이 행하고 소유하는 양식을 모.. 교육의 학문적 기초 - 사회학 (1) 1. 교육사회학의 개념과 이론 1) 교육사회학의 개념 교육사회학이란 교육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사회학적 방법을 통해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교육에 대한 연구로서 교육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관계를 사회학적 연구에서 성취된 기술, 지식, 방법 등으로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이처럼 교육사회학은 교육학과 사회학을 접목한 학문적 영역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교육사회학의 이론 학자마다 교육과 사회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은 몇 가지로 유형화될 수 있습니다. 우선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논함에 있어 그 초점을 사회에 두는 '거시적인 접근'과 구체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육의 내적 과정에 초점을 두는 '미시적인 접근'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거시적인 접근'은 사회의 질서를 강조하느.. 이전 1 다음